OPEN Architecture가 상하이에 새로운 학교 프로젝트를 선보였습니다. 총 13개의 독특한 건물들로 이루어진 이곳은 유기적인 별자리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현대적인 교육 기관이 갖춰야 할 새로운 시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OPEN Architecture가 3세에서 15세 사이의 2000명의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학교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 15년을 한 곳에서 보내게 될 아이들을 어떻게 하면 지루하지 않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들은 '한명의 아이를 키우려면, 한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건축가 OPEN Architecture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학교 모델인 거대한 구조물에서 벗어나 여러가지 특색을 지닌 건물들 여러개로 재편해 넓은 풍경과 속에 마치 학교를 하나의 마을처럼 구성하였습니다.

Campus_Aerial View_Credit WU Qingshan
Campus_Aerial View_Learning Cubes and Landscape Features_Credit WU Qingshan

Campus_Arts Center, Gym Canteen and Helical Dorm_Credit WU Qingshan
청푸핑허(Qingpu Pinghe) 국제학교 캠퍼스의 디자인은 사려깊게 설계된 조경들 사이로 독특한 작은 건물들이 유기적인 별자리처럼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학교 단지가 점차 넓게 확대되고 있는 중국의 최근 흐름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러닝 큐브와 행정 및 실험실 건물, 나선형의 학생 기숙사, 자유로운 형태의 유치원 등 다양한 학교의 건물 유형을 대표하는 이 학교는 Bibliotheater, Gym Canteen, Arts Center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독서와 스포츠, 예술을 대표하는 3대 핵심 요소를 대표하는 것입니다. 이는 큐브형태의 학습공간, 나선형의 기숙사, 자유로운 형태의 유치원 및 행정과 실험실 건물과 더불어 이곳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Year: 2020
Location: Shanghai, China
Floor area: 5,372
Site area: 2,312
Type: Architecture
Client: Shanghai Tixue Education and Technology Co., Ltd.
Status: Completed
CREDITS
Principals in Charge: LI Hu, HUANG Wenjing
Design Team: YE Qing, SHI Bingjie, YANG Ling, TAN Qingjun, LU Di, Daijiro Nakayama, ZHOU Tingting, LIN Bihong, CHEN Xiuyuan, ZOU Xiaowei, LIU Xunfeng, LI Lingna
Photographs: Jonathan Leijonhufvud, WU Qingshan, CHEN Hao
COLLABORATORS
Local Design Institute: Shanghai Yuangou Architects and Consultants
Structural and MEP Consultant: CABR Technology Co., Ltd.
Curtain Wall Consultant: CABR Technology Co., Ltd.
Theater/Acoustic Consultant: Shanghai Net Culture Development Co., Ltd.
Lighting Consultant: Shanghai Modern Architecture Decoration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Institute Co., Ltd.
이곳의 대표적인 건물들과 내부를 소개합니다.

Bibliotheater south side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Bibliotheater north side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Bibliotheater_Terraced Reading Space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Bibliotheater_Central Reading Area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The Bibliotheater
"비블리오 극장"은 학교와 지역사회에 봉사하기 위한 전략적인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도서관과 극장이 중국 퍼즐처럼 맞물려 '파랑고래'라고 부르는 이 독특한 건물을 만들고, 사람들은 수평선에서 고래를 바라보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됩니다. 도서관과 극장을 함께 배치한 것이 조금 독특하게 느껴지는데, 이는 독서와 공연이라는 두가지 카테고리가 조기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요소라는 이들의 믿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Gym Canteen south_Credit CHEN Hao

Gym Canteen Stairs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Gym Canteen_Swimming Pool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Gymnasium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The Gym Canteen
둥근 모서리를 지닌 흰색의 박스 두개를 엇갈려 배치한 독특한 형태의 이 건물은 체육관과 수영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층의 투명한 유리 상자에는 매점 등이 구성되어 있으며, 마치 위쪽에 두개의 박스가 하늘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수직의 유리 아트리움은 건물에 역동성을 부여하며, 밝은 채광과 스케일이 건물을 더욱 멋지게 완성해줍니다.

Arts Center night view_Credit CHEN Hao
Arts Center exterior_Credit WU Qingshan
Arts Center_Atrium_Credit WU Qingshan
The Arts Center
캠퍼스의 중앙에 위치한 아트 센터는 정확하게 절단된 블랙 다이아몬드를 닮아있는 건물로 각도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재미있는 건물입니다. 건물을 관통하는 2중 높이의 아트리움이 있어 내부에도 채광이 충분히 제공되며, 두 개의 아트리움은 교차되고 상호 연결되어 전시 갤러리의 기능을 배가하는 중앙 공공 공간을 만들어냅니다.
Primary School Learning Cube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Middle School Learning Cubes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Campus_Learning Cubes and Landscape in between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Admin_Lab Building_Credit WU Qingshan
Learnings Cubes and Admin Lab Building
교실은 대나무 판자로 덮인 정육면체 건물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정육면체는 둘레가 구부러진 반면, 중학교의 정육면체는 둘레가 접혀 있어 차이를 주었습니다. 또한 주 출입구에는 캡슐 모양의 개구부가 있는 흰색 프리랩-콘크리트 건물은 행정실과 연구실로 구성된 건물입니다.

Helical Dormitory_Entrance_Jonathan Leijonhufvud

Campus_Sportsfield_Credit WU Qingshan
The Landscape
이곳은 건물보다 주변 환경, 조경 등이 중요한 곳입니다. 이는 자연을 교육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으로 간주한 건축가의 의도에 의한 것으로, 이를 위해 건축가는 캠퍼스의 설계에 있어서 건물과 동등한 중요성을 지닌 외부 개방 공간을 만드는 데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덕분에 정원, 습지, 숲, 언덕, 러닝 트레일과 놀이터가 캠퍼스와 한데 묶여 유기적인 생명체처럼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과 건물과 그 사이의 풍경은 아이들의 성장을 촉진하는 풍부하고 역동적인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Campus_Birds Eye View_Credit CHEN Hao
Living Organism
학교는 더 이상 단순한 캠퍼스가 아니라 생명의 성장을 지탱하는 살아있는 유기체입니다. 교육시설의 유기적인 분포는 배움이 캠퍼스 어디에서나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독특한 특징을 지닌 건물들은 아이들이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며,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클러스터로 구성된 이 학교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시설이 각각 학생들의 연령에 맞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교육의 다른 단계를 거치면서 환경과 함께 신체적, 정신적 '성숙'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OPEN ARCHITECTURE
OPEN Architecture는 LI Hu와 HUANG Wenjing가 뉴욕에서 시작한 건축사무소입니다. 2008년에는 베이징 사무소를 설립했으며, 이들이 진행 중이거나 진행한 프로젝트에는 게화청년문화원, 가든스쿨/베이징 4호, 고등학교 팡산 캠퍼스, 칭화오션센터, 핑산 공연예술센터, 탱크 상하이, UCCA 둔 아트 뮤지엄, 소리의 예배당, 칭푸핑허 국제학교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혁신적인 작업으로유명하며, 2020년 아시아 디자인 어워드, 2020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 올해의 디자인 노미네이트(영국), 2019년 리프 어워드(EU), 2019년 인테리어 디자인 어워드(미국), 2019년 P/A 어워드(미국), 2019 AZ 어워드(캐나다), 2018년 AIA 디자인 어워드(A Education Awards) 등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오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2017 아이코닉 어워드 베스트 오브 베스트(독일), 2015 AIANY 디자인 어워드(미국), WA Awards for Chinese Architecture을 수상했으며, 2018년 베이징 차이나 하우스 비전, 2017년 이탈리아 베로나 'Soul of the City', 2015년 시카고 건축 비엔날레 창단, 2014년 베니스 비엔날레 중국관 등 중요한 국제 전시회에 초청되어 혁신적인 작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www.openarch.com/
OPEN Architecture가 상하이에 새로운 학교 프로젝트를 선보였습니다. 총 13개의 독특한 건물들로 이루어진 이곳은 유기적인 별자리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현대적인 교육 기관이 갖춰야 할 새로운 시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OPEN Architecture가 3세에서 15세 사이의 2000명의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학교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 15년을 한 곳에서 보내게 될 아이들을 어떻게 하면 지루하지 않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들은 '한명의 아이를 키우려면, 한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건축가 OPEN Architecture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학교 모델인 거대한 구조물에서 벗어나 여러가지 특색을 지닌 건물들 여러개로 재편해 넓은 풍경과 속에 마치 학교를 하나의 마을처럼 구성하였습니다.
Campus_Aerial View_Credit WU Qingshan
Campus_Arts Center, Gym Canteen and Helical Dorm_Credit WU Qingshan
청푸핑허(Qingpu Pinghe) 국제학교 캠퍼스의 디자인은 사려깊게 설계된 조경들 사이로 독특한 작은 건물들이 유기적인 별자리처럼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학교 단지가 점차 넓게 확대되고 있는 중국의 최근 흐름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러닝 큐브와 행정 및 실험실 건물, 나선형의 학생 기숙사, 자유로운 형태의 유치원 등 다양한 학교의 건물 유형을 대표하는 이 학교는 Bibliotheater, Gym Canteen, Arts Center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독서와 스포츠, 예술을 대표하는 3대 핵심 요소를 대표하는 것입니다. 이는 큐브형태의 학습공간, 나선형의 기숙사, 자유로운 형태의 유치원 및 행정과 실험실 건물과 더불어 이곳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Year: 2020
Location: Shanghai, China
Floor area: 5,372
Site area: 2,312
Type: Architecture
Client: Shanghai Tixue Education and Technology Co., Ltd.
Status: Completed
CREDITS
Principals in Charge: LI Hu, HUANG Wenjing
Design Team: YE Qing, SHI Bingjie, YANG Ling, TAN Qingjun, LU Di, Daijiro Nakayama, ZHOU Tingting, LIN Bihong, CHEN Xiuyuan, ZOU Xiaowei, LIU Xunfeng, LI Lingna
Photographs: Jonathan Leijonhufvud, WU Qingshan, CHEN Hao
COLLABORATORS
Local Design Institute: Shanghai Yuangou Architects and Consultants
Structural and MEP Consultant: CABR Technology Co., Ltd.
Curtain Wall Consultant: CABR Technology Co., Ltd.
Theater/Acoustic Consultant: Shanghai Net Culture Development Co., Ltd.
Lighting Consultant: Shanghai Modern Architecture Decoration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Institute Co., Ltd.
이곳의 대표적인 건물들과 내부를 소개합니다.
Bibliotheater south side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Bibliotheater north side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Bibliotheater_Central Reading Area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The Bibliotheater
"비블리오 극장"은 학교와 지역사회에 봉사하기 위한 전략적인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도서관과 극장이 중국 퍼즐처럼 맞물려 '파랑고래'라고 부르는 이 독특한 건물을 만들고, 사람들은 수평선에서 고래를 바라보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됩니다. 도서관과 극장을 함께 배치한 것이 조금 독특하게 느껴지는데, 이는 독서와 공연이라는 두가지 카테고리가 조기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요소라는 이들의 믿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Gym Canteen south_Credit CHEN Hao
Gym Canteen Stairs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Gymnasium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The Gym Canteen
둥근 모서리를 지닌 흰색의 박스 두개를 엇갈려 배치한 독특한 형태의 이 건물은 체육관과 수영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층의 투명한 유리 상자에는 매점 등이 구성되어 있으며, 마치 위쪽에 두개의 박스가 하늘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수직의 유리 아트리움은 건물에 역동성을 부여하며, 밝은 채광과 스케일이 건물을 더욱 멋지게 완성해줍니다.
Arts Center night view_Credit CHEN Hao
Arts Center exterior_Credit WU Qingshan
The Arts Center
캠퍼스의 중앙에 위치한 아트 센터는 정확하게 절단된 블랙 다이아몬드를 닮아있는 건물로 각도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재미있는 건물입니다. 건물을 관통하는 2중 높이의 아트리움이 있어 내부에도 채광이 충분히 제공되며, 두 개의 아트리움은 교차되고 상호 연결되어 전시 갤러리의 기능을 배가하는 중앙 공공 공간을 만들어냅니다.
Middle School Learning Cubes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Campus_Learning Cubes and Landscape in between_Credit Jonathan Leijonhufvud
Learnings Cubes and Admin Lab Building
교실은 대나무 판자로 덮인 정육면체 건물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정육면체는 둘레가 구부러진 반면, 중학교의 정육면체는 둘레가 접혀 있어 차이를 주었습니다. 또한 주 출입구에는 캡슐 모양의 개구부가 있는 흰색 프리랩-콘크리트 건물은 행정실과 연구실로 구성된 건물입니다.
Helical Dormitory_Entrance_Jonathan Leijonhufvud
Campus_Sportsfield_Credit WU Qingshan
The Landscape
이곳은 건물보다 주변 환경, 조경 등이 중요한 곳입니다. 이는 자연을 교육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으로 간주한 건축가의 의도에 의한 것으로, 이를 위해 건축가는 캠퍼스의 설계에 있어서 건물과 동등한 중요성을 지닌 외부 개방 공간을 만드는 데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덕분에 정원, 습지, 숲, 언덕, 러닝 트레일과 놀이터가 캠퍼스와 한데 묶여 유기적인 생명체처럼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과 건물과 그 사이의 풍경은 아이들의 성장을 촉진하는 풍부하고 역동적인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Campus_Birds Eye View_Credit CHEN Hao
Living Organism
학교는 더 이상 단순한 캠퍼스가 아니라 생명의 성장을 지탱하는 살아있는 유기체입니다. 교육시설의 유기적인 분포는 배움이 캠퍼스 어디에서나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독특한 특징을 지닌 건물들은 아이들이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며,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클러스터로 구성된 이 학교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시설이 각각 학생들의 연령에 맞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교육의 다른 단계를 거치면서 환경과 함께 신체적, 정신적 '성숙'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OPEN ARCHITECTURE
http://www.openarch.com/